재난지원금 사칭 피하는 법
요즘 들어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입니다’, ‘확인 후 신청하세요’라는 문자가 많이 오고 있죠. 하지만 이 중 상당수가 정부기관을 사칭한 사기 메시지입니다. 개인정보를 노리거나,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방식이 대부분입니다.
이 글에서는 재난지원금 사칭 수법과 실제 사례, 예방법, 피해 시 대처법까지 간단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실제 지급되는 재난지원금과 구분하기
공식 지원금은 대부분 사전 안내 + 홈페이지 또는 앱 접수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2. 사칭 수법 유형별 사례
문자 메시지 사기
‘정부지원금 지급’, ‘국가재난금 안내’ 등의 문구와 함께 링크 클릭을 유도하는 메시지입니다. 링크를 누르면 악성 앱이 설치되거나,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유도됩니다.
가짜 공공기관 웹사이트
정부 로고를 도용한 가짜 홈페이지를 만들어 공공기관인 척하며 계좌번호나 주민번호 입력을 유도합니다.
앱 설치 유도
문자 클릭 후 자동으로 앱 설치를 유도하고, 이 앱이 휴대폰 정보를 탈취하거나 금융 앱을 조작하는 사례도 발생합니다.
3. 피해 예방을 위한 행동 요령
- 낯선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기
- 정부지원금은 직접 접속(홈페이지 주소 입력)으로 확인
- 문자 내용이 이상하면 지자체 콜센터에 확인
- 앱 설치 전 반드시 구글 플레이/앱스토어 확인
-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요구하는 사이트는 즉시 종료
4. 피해 시 신고 절차
- 경찰청 사이버수사국: https://ecrm.police.go.kr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118
- 금융감독원 보이스피싱 신고: 1332
실시간 신고와 상담이 가능한 기관이 많으니, 피해가 의심될 땐 망설이지 말고 바로 연락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Q. 정부에서 직접 문자를 보내는 경우도 있나요?
있습니다. 하지만 반드시 ‘정부24’, ‘보건복지부’, ‘서울시청’ 등 공식 명의가 표시됩니다.
Q. 링크 클릭만 해도 피해가 발생하나요?
대부분은 클릭 후 악성 앱 설치나 정보 입력이 있어야 피해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클릭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Q. 가족 이름으로 온 지원금 문자도 의심해야 하나요?
가족정보를 악용한 문자도 많습니다. 실제 지원 여부는 공식 홈페이지에서만 확인 가능합니다.
Q. 피해 발생 후 계좌는 어떻게 보호하나요?
즉시 은행 고객센터에 연락하여 계좌 일시 정지 조치를 요청해야 합니다. 이후 경찰 신고도 병행하세요.
재난지원금은 어려운 시기에 도움을 주는 제도이지만, 그 이름을 악용한 사기 수법도 함께 늘고 있습니다. 어떤 문자를 받더라도 확인 없는 클릭은 절대 금물입니다. 스스로 조심하고, 주변에도 꼭 알려주세요.